국내에서 제일 많이 사용하는 바코드 종류와 그 이유

국내바코드

서론: 바코드는 선택이 아닌 필수

바코드는 더 이상 단순한 ‘인식 수단’이 아닙니다. 제품의 흐름, 자재의 이동, 작업의 상태를 시스템으로 자동 반영하게 하는 스마트팩토리의 출발점이죠. 특히 국내 제조 및 유통 환경에서는 특정 바코드가 널리 사용되고 있으며, 그 이유는 단순한 관성이나 유행이 아닌 실용성과 호환성에 기반하고 있습니다.

본 글에서는 국내 제조 및 유통 업계에서 가장 많이 사용되는 바코드의 종류를 살펴보고, 각 바코드가 널리 쓰이는 이유와 장단점, 그리고 실제 MES 운영과의 연계 시 고려할 점들을 전문가 관점에서 쉽게 정리해드립니다.

📌 바코드 설계 및 시스템 연계를 고려하고 있다면 엠이에스코리아 공식 문의하기에서 전문가의 상담을 받아보세요.


1. 바코드의 기본 구조

바코드는 ‘정보를 시각적으로 표현하는 코드’입니다. 기계가 인식할 수 있는 패턴을 통해 숫자, 문자, 명령 등을 표현하며, 생산 현장과 유통 채널의 핵심 기반으로 작동합니다.

대표적으로 바코드는 **1D(1차원 바코드)**와 **2D(2차원 바코드)**로 구분됩니다.

구분1D 바코드2D 바코드
형태가로 막대격자 또는 도트
정보량낮음높음
사용처유통, 간단한 물류SMT, 부품, 출하이력 등
인식기레이저 스캐너카메라 스캐너, 이미지 리더

2. 국내에서 가장 많이 사용되는 바코드 종류 TOP 5

① Code 128

  • 특징: 고밀도 표현, 숫자/문자/특수문자 모두 가능
  • 사용처: 유통 물류, 제조 공정, 내부 자산 추적 등
  • 이유: 범용성과 인쇄 안정성이 뛰어나 제조업에서 가장 선호됨
  • 장점: 다양한 문자 표현 가능, 높은 인식률

② QR Code

  • 특징: 정사각형 구조, 다량의 정보를 저장
  • 사용처: 출하이력, 공정추적, 고객 접점 정보, 모바일 인증 등
  • 이유: 스캔 속도 빠르고, 적은 공간에 많은 정보
  • 장점: 손상 허용 범위 넓음, 모바일 호환 우수

③ Data Matrix

  • 특징: 매우 작은 크기로도 고용량 정보 표현
  • 사용처: SMT, 반도체, 정밀 부품 등
  • 이유: 극소형 표면에도 인쇄 가능, 산업용 레이저 마킹과 호환
  • 장점: 자동화 기기와의 연동성 탁월

④ EAN-13

  • 특징: 유럽형 국제표준, 13자리 숫자 전용
  • 사용처: 소매점, 유통상품(식품, 생필품 등)
  • 이유: GS1 코드를 기반으로 한 유통 기반 바코드
  • 장점: POS 스캐너와의 호환성 높음

⑤ ITF (Interleaved 2 of 5)

  • 특징: 숫자 전용, 강인한 구조
  • 사용처: 외부 박스 포장, 물류창고
  • 이유: 저렴한 인쇄비용, 운송에 적합한 내구성
  • 장점: 인쇄 오차에 강하고, 저해상도에서도 인식 가능

3. 바코드 선택 시 고려할 기준

바코드를 선택할 때는 단순히 널리 쓰인다는 이유만으로 결정하기보다는, 다음 기준을 함께 고려해야 합니다.

고려 항목설명
정보량인코딩할 데이터의 양과 성격
공간 제약바코드를 인쇄할 수 있는 여유 공간 여부
내구성인쇄 품질, 긁힘, 오염 등에 대한 내성
인식 장비스캐너의 종류(레이저/이미지 기반 등)
시스템 호환MES, ERP, WMS와의 통합 설계 가능성
향후 확장성추적성 수준이 높아질 경우 대비 가능성

📌 정확한 바코드 선택을 위한 기술 컨설팅은 엠이에스코리아를 통해 진행할 수 있습니다.


4. MES 구축 시 바코드 체계의 중요성

MES를 구축하면서 간과하기 쉬운 부분 중 하나가 바로 바코드 체계 설계입니다. 바코드는 데이터 수집의 시작점이기 때문에 다음과 같은 역할을 수행합니다.

  • 작업지시 연결: 바코드를 통해 해당 자재 또는 장비가 어떤 작업지시와 연계되는지 확인
  • 부품 이력 관리: 바코드를 통해 제조된 부품의 LOT, 설비, 작업자, 일자 등 이력을 추적
  • 검사 및 출하 자동화: 검사 공정에서 바코드를 통해 자동으로 결과 저장 및 판단
  • 재고 실시간 갱신: 입출고 또는 사용 시점에 자동으로 시스템 반영

바코드가 불완전하면 MES도 불완전하게 운영됩니다. 고도화된 시스템일수록 기초 데이터의 일관성과 정확성이 중요합니다.


5. 바코드 인식 장비와 운영 환경

구분특징주의사항
레이저 스캐너1D 바코드 전용, 빠르고 저렴2D 지원 불가
이미지 스캐너1D + 2D 모두 인식 가능카메라 화질과 조도 영향
휴대형 스캐너이동이 잦은 작업에 적합무선 연결 안정성 중요
고정형 리더기자동화 라인에 적용트리거 설정 및 속도 중요

6. 국내 제조업에서 바코드가 사랑받는 이유

  • 국가 단위 표준이 잘 정립되어 있음 (ex. 식약처, 국방, 산업부 가이드라인 등)
  • MES/ERP 솔루션과의 연동이 이미 보편화
  • 하드웨어/인프라 환경이 우수해 스캐너 호환성 높음
  • 소량 생산부터 대량 생산까지 적용 유연성 확보
  • 기술지원 및 인쇄 환경이 국내에 다양하게 존재

7. 결론: 바코드는 ‘입구’이자 ‘핵심’이다

모든 제조 혁신의 출발은 ‘정확한 정보’이며, 그 정보를 어떻게 수집하느냐가 성패를 좌우합니다. 이때 바코드는 가장 빠르고, 간편하며, 강력한 도구가 됩니다.

국내에서 많이 쓰인다고 해서 무작정 따라 하기보다는, 자사의 공정 특성에 맞는 바코드 구조를 설계하고 운영 체계를 일관되게 적용하는 것이 가장 중요합니다.

📌 엠이에스코리아는 단순한 시스템 공급을 넘어서 바코드 설계부터 MES 통합 운영까지 실용적인 방향을 제시합니다.
📎 지금 전문가 상담 받기를 통해 현장 중심의 솔루션을 확인해보세요.

댓글 달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

위로 스크롤